728x90
300x250

[PC 활용] (VS2013 - 오류) error MSB8031: Building an MFC project for a non-Unicode character set is deprecated.

 

 error MSB8031: Building an MFC project for a non-Unicode character set is deprecated. You must change the project property to Unicode or download an additional library. See http://go.microsoft.com/fwlink/p/?LinkId=286820 for more information

 

- Visual Studio 2013용 멀티Byte 팩 아래의 링크에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http://go.microsoft.com/fwlink/p/?LinkId=286820

반응형
728x90
300x250

[PC 활용] 관리도구 소개 / MySQL Workbench

 

WIndows 환경에서 작업하는 사용자들은 MySQL-GUI-Tool이나 기존에 phpMyAdmin 또는 수기 명령어 조작을 통해 제어를 해온 User들이 많이 있습니다.

 

 

SQL Management (SQL 2012)의 프로그램과 거의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고 보면 됩니다.

SQL 제어가 수기로 하기에 불편할 때, 이 프로그램을 통해 제어하시면 됩니다.

 

예전 MySQL-GUI Tools에 비해 호환성도 개선되었고,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되서 사용하기에 정말 편리하고 좋습니다.

 

참고사이트)

http://dev.mysql.com/downloads/

반응형
728x90
300x250
[PC활용] [Dev] Version Control 관리 프로그램 - TortoiseGit

 

버전 관리 프로그램입니다.

Code를 짰으면 관리를 해야 하지 않습니까? 그런 용도로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크게 어려운 건 없고, 클라우드 시스템이 요새는 활발히 사용되고 있기에 그와 같은 방식에 파일을 새로 갱신하고 이전 소스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2014년 2월 6일)

 

 


1. 참고 자료(Reference)

 

1. http://code.google.com/p/tortoisegit/wiki/Download

반응형
728x90
300x250
[PC 활용] Visual Studio 2012) 느릴 때, 속도 향상 팁

 

간혹 Visual Studio 2012를 사용할 때, 느려진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

한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 중에서 느려진 이유는 다음과 같다고 정리되어 있어서 올려보게 되었습니다.

 

* 주요 느린 요인

1. 더 스마트해진 인텔리센스 사용 및 검색/탐색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사용

2. 소스제어 팀파운데이션시스템(TFS) 플러그인 사용

 

* 문제 해결

- 도구 -> 옵션에서 해결 가능함.

1. 텍스트 편집기 옵션 -> 옵션 -> C/C++ -> 고급 -> 인텔리젠스

   -> 검색/탐색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사용을 False로 전환

 

2. 소스 제어에서 사용 플러그인을 None으로 전환

 

기본적인 개발 툴 자체는 이전 비전에 비해 빠르다고 합니다.

단, 백그라운드의 지나친 갱신 작업으로 인해 속도 면에서 생산성을 저하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해본 건데, SSD 이상이면, 하드 엑세스 속도도 빠르므로 VS2012에서 효과를 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 참고 자료(Reference)
1. http://lab.gamecodi.com/board/zboard.php?id=GAMECODILAB_Lecture&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it&desc=desc&no=156

 

반응형
728x90
300x250

[PC활용] 토렌트 웹서버 구축 - WebUi (uTorrent, BitTorrent)

 

uTorrent, BitTorrent를 웹 형태로 관리하는 WebUi 설치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환경설정은 웹 인터페이스가 사용가능한 상태로 하셔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1. 웹 인터페이스 - 환경설정하기

 

 

 

사용자\사용자계정\AppData\Roaming\utorrent(BitTorrent)에

WebUi.zip이라는 압축 파일을 넣어놓으시면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2. 첨부(Attachment)


webui.zip

 


3. 참고자료(Reference)


1. https://forum.utorrent.com/topic/49588-%C2%B5torrent-webui/

반응형
728x90
300x250

[PC활용] [OSS] OpenFire 서버 / 클라이언트 (무료 인트라넷 메신저)

 

본 설명은 OpenFire를 구축하는 방법에 관하여 기술된 안내입니다.

 

서버 태스트 환경 사양 안내

OS : Windows 2008 R2 Datacenter Edition (Evaluation)

RAM : 4GB(DDR3)

CPU : AMD Athlon x2 64bit Processor

 


1. Openfire 3.8.2

http://www.igniterealtime.org/downloads/index.jsp

 

 

Fig 1-1) Install

 

2. Openfire 3.x.x.zip을 다운받습니다.

 

 

Fig 1-2) 저장하기

 

3. C:\에 저장합니다.

 

 

Fig 1-3) 압축해제(Extract)

 

3. C:\에 압축을 풀고 압축 폴더 내에 있는 Openfire 폴더를 C:\로 이동시킵니다.

 

 

Fig 1-4) 압축폴더 이동하기

 

4. Openfire 폴더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bin 폴더를 클릭합니다.

 

 

 

Fig 1-5) openfired 실행 경로

 

5. 이곳이 바로 openFire의 핵심 서비스가 존재하는 위치입니다.

 

 

Fig 1-6) cmd로 openfire 경로 이동하기

 

6.

-> cd c:\openfire\bin

-> openfire-service /install (서비스 설치)

-> openfire-service /start (서비스 시작)

 

부가서비스 안내

-> openfire-service /restart (서비스 재시작)

-> openfire-service /uninstall (서비스 제거)

 

서비스 설치 후 openfire를 실행시킵니다.

 

 

Fig 1-7) openfire 처음 설치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Fig 1-7은 openfire를 처음 설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입니다.
오류 내용은 Java Runtime Environment를 설치하지 않아 발생한 오류입니다. www.java.com 에 접속해서 JRE를 설치하면 됩니다.

 

 

Fig 1-8) JRE 설치하기

 

 

Fig 1-9) JRE 설치 진행

 

 

Fig 1-10) JRE 설치 진행

 

 

 

Fig 1-11) JRE 설치 완료

 

설치 상태를 확인합니다.

이제 실제 OpenFire의 서비스를 설치하겠습니다.

우선 서비스를 시작해야합니다. 컴퓨터 관리 -> 서비스 -> Openfire를 더블클릭합니다.

 

 

Fig 1-12) OpenFire 서비스 확인하기

 

 

Fig 1-13) OpenFire 서비스 시작하기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속어: 서비스를 올립니다.)

그리고 http://127.0.0.1:9090/index.jsp에 접속합니다.

 

 

Fig 1-13) OpenFire 서비스 설치 단계

 

Continue를 클릭합니다.

 

 

 

Fig 1-14) OpenFire 서비스 설치 단계

 

Continue를 클릭합니다.

 

 

 

Fig 1-14) OpenFire 서비스 설치 단계

 

Standard를 클릭 후 Continue를 클릭합니다.

 

 

Fig 1-14) OpenFire 서비스 설치 단계

 

[hostname]을 자기 자신의 서버를 입력해줍니다.

ex) 127.0.0.1

 

[database]는 자기가 실제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 명을 입력합니다.

 

ID와 Password는 Database 서버 계정을 입력합니다.

 

Continue를 클릭합니다.

 

 

 

Fig 1-15) OpenFire 서비스 설치 단계

 

Detail 기본값으로 두고 Continue를 클릭합니다.

 

 

 

Fig 1-16) OpenFire 서비스 설치 단계

 

서버 관리자 계정을 입력합니다. 그리고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Continue를 클릭합니다.

 

 

Fig 1-17) OpenFire 서비스 시작 단계 (완료)

 

OpenFire Administration Console에 접속된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속어: 입성했습니다.)

관리자 계정은 admin / 그리고 설정한 관리자 암호를 입력합니다.

Login을 클릭합니다.

 

 

 

Fig 1-18) OpenFire 서비스 관리 단계

 

서버 관리자에 접속했습니다.

Server Ports를 기억합니다.

Windows 방화벽에 들어갑니다.

고급 설정에 들어가면, 고급 보안이 포함된 Windows 방화벽이 실행됩니다.

인바운드 규칙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작업 탭에서 새 규칙을 클릭합니다.

 

 

Fig 1-19) OpenFire 서비스 관리 단계 / 방화벽 설정

 

 

 

Fig 1-20) OpenFire 서비스 관리 단계 / 방화벽 설정

 

포트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Fig 1-21) OpenFire 서비스 관리 단계 / 방화벽 설정

 

포트 범위를 입력합니다. 다음을 클릭합니다.

 

 

 

Fig 1-22) OpenFire 서비스 관리 단계 / 방화벽 설정

 

연결 허용(A)를 선택 후 다음을 클릭합니다.

 

 

 

Fig 1-21) OpenFire 서비스 관리 단계 / 방화벽 설정

 

다음을 클릭합니다.

 

 

 

Fig 1-22) OpenFire 서비스 관리 단계 / 방화벽 설정

 

서비스 명을 정의 후 마침(F)를 클릭합니다.

오픈 소스 메신저 구축이 완료되었습니다.

 

반응형
728x90
300x250

[PC활용] Ghost 흔적 제거 - Figner DEL V2.7

 

이번에 소개할 프로그램은 Ghost로 시스템 복구를 진행한 흔적을 지우는 프로그램입니다.

고스트(이하 Ghost)를 사용하면 흔적이 남습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작성된 프로그램으로 보입니다.

 


1. Figner DEL V2.7 소개

 

 

Fig 1-1) FINGER DEL V2.7 By Romantic Cat

 

이 프로그램은 크게 화려한 인터페이스를 자랑하진 않습니다.

매우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Interface)"를 자랑하는 프로그램으로 보입니다.

 

이 프로그램을 찾아보는 방법은 크게 구글링이 있겠습니다.

 

검색하면, "Finger DEL V2.7"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Finger DEL 영역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노턴 고스트(이하 ghost 또는 Symantec Norton Ghost)를 파괴하는 프로그램은 아닙니다.

 

노턴 고스트를 사용하여 복구했다는 일종의 로그 기록 정도만 지워주는 프로그램입니다.

 


2. 첨부 자료(Attechment)

 

1. V2.7버전 자료

PGFINGER.zip

 

2. 기타 버전 자료(V2.5버전)

 Finger_del64bit.rar


사용 가능한 운영체제: Microsoft Windows


3. 참고자료(Reference)

 

 

 

반응형
728x90
300x250
[PC활용] 클라우드 디스크 SkyDrive - MS Word 2013에서 사용하기

 

MS Office 2010 이후 버전부터는 SkyDrive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즉, MS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짐을 의미합니다.

아래의 화면과 같이 SkyDrive에 로그인만 하면 사용할 수 있는 환경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